많은 분들이 연봉과 실수령액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 겁니다.
연봉은 회사가 제시하는 세전 금액이고, 실수령액은 여러 공제 항목을 제외한 후 실제로 받는 금액이죠.
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,
세금과 공제 항목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볼게요.
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▶https://m.site.naver.com/1twsi◀
연봉과 실수령액 차이
연봉과 실수령액의 가장 큰 차이는 세금과 4대 보험료와 같은 공제 항목에서 발생해요.
연봉은 회사가 제시하는 세전 금액이지만,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은 공제 항목을 제하고 남은 금액이에요.
- 실수령액 계산식
실수령액 = 세전월급 - (4대보험 + 소득세 + 지방 소득세)
4대 보험료와 세금
- 국민연금: 월 급여의 4.5%
- 고용보험: 월 급여의 0.9%
- 건강보험: 월 급여의 3.54%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- 근로소득세: 간이세액 공제표에 따른 세율
- 지방소득세: 근로소득세의 10%
국민연금은 월 소득이 일정 상한액(277,650원)에 도달하면 그 이상은 납부하지 않아도 돼요.
또한 비과세 항목, 부양가족 수, 20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 소득세가 달라지기 때문에 회사마다,
개인마다 실수령액이 다르게 계산될 수 있어요.
2024년 연봉 실수령액표
연봉 | 세전 월급 | 실수령액 | 4대 보험료 | 근로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|
5,000만 원 | 4,166,667원 | 3,584,200원 | 약 372,778원 | 약 209,682원 |
6,000만 원 | 5,000,000원 | 4,210,690원 | 약 451,148원 | 약 307,420원 |
7,000만 원 | 5,833,333원 | 4,839,220원 | 약 529,448원 | 약 464,662원 |
8,000만 원 | 6,666,667원 | 5,413,120원 | 약 582,287원 | 약 671,253원 |
9,000만 원 | 7,500,000원 | 5,998,070원 | 약 623,116원 | 약 880,814원 |
1억 | 8,333,333원 | 6,584,000원 | 약 657,938원 | 약 1,085,392원 |
연봉 계산기
연봉 실수령액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직접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해요.
연봉계산기를 이용해 기본 비과세액, 부양가족 수 등을 입력하고 자신의 실수령액을 확인해 보세요.
상단 링크 통해서 연봉 계산기 이용할 수 있어요.
예를 들어, 연봉 5,000만 원이고 본인 외에 부양가족이 없는 경우, 월 약 3,583,977원을 수령할 수 있어요.
마무리
이 글에서는 2024년 연봉 실수령액과 관련해 알려드렸어요.
연봉과 실수령액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고, 다양한 공제 항목을 고려해 자신의 실수령액을 정확히 확인해 보세요.
이렇게 하면 실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.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롯데카드 빠니보틀 트립투로카 혜택, 수수료, 전월실적 (0) | 2024.09.11 |
---|---|
이름 한자 사전 찾기 2가지 방법 (0) | 2024.09.11 |
하나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사용 방법, 발급, 인출 혜택 (0) | 2024.09.10 |
운문산 자연휴양림, 최단 등산코스, 엘리베이터 폭포 (0) | 2024.09.10 |
aci express 월드와이드 배송조회, 고객센터 전화번호 문의 방법 (0) | 2024.09.10 |